[컬처인사이드]‘파워 블로거’를 넘어선 1인 기업체, ‘왕홍’

2016-12-24 15:13

▲ 사진=바이두

[투비스 김지영 기자] ‘왕홍’을 들어봤는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중국 시장에서 일반인이 각각의 콘텐츠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중국에서 거대한 규모로 대중과 기업들을 사로잡아 중국 경제를 움직이는 힘이라고도 불리는 왕홍. 이들을 알아본다.

‘파워 블로거’ 자신의 블로그에 각종의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막강한 파워를 얻게 된 블로거들을 일컫는 말이다. 인터넷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정보를 보다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데서 시작했다. 단순히 취미로 시작된 이들의 활동은 연예인 못지않은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입소문 마케팅인 바이럴 마케팅을 잘 활용한 예라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몇 년 전부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최근 90년대 생이 소비의 주요한 핵심으로 자리 잡아 1인 소통채널을 넘어 ‘브랜드화’시켰다.


왕홍은 무엇?

왕홍은 罔(그물 망)과 紅(붉을 홍)의 합성어. 중국어로 망은 ‘인터넷, 네트워크’라는 뜻이며 홍은 ‘붉다’라는 의미와 함께 ‘인기 있다, 명성이 있다, 잘 팔리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왕홍은 ‘인터넷 인기인’, 혹은 ‘인터넷 셀러브리티’라고 설명할 수 있다.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이전의 텍스트 위주의 인터넷 스타는 자신의 얼굴을 숨기고 있기 때문에 스타가 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왕홍은 얼굴을 알리는데 거부감이 없으며 대부분 온라인에서 소통을 즐기는 90년대 생들이다. 이들은 화장품, 여행, 음식, 여행 등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단순한 소통을 넘어서서 다양한 콘텐츠로 대중들을 사로잡았다. 인터넷 셀러브리티답게 1만 명부터 많게는 1000만 명까지 상당한 구독자를 가지고 있다.


왕홍은 어떻게 수익을 얻을까?


▲ 사진=SBS 스페셜


왕홍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자신의 SNS에 기업으로부터 무료로 제공받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게재한다. 이는 우리나라에도 보편화된 방식으로 후기를 쓰고 광고비를 받는 형식이다.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행사에도 참석해 홍보 수익을 얻고 있다. 더불어 이들은 직접 물건을 팔기도 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열어 CEO가 되기도 한다.

직접적으로 홍보하는 방식 외에 스텔스 마케팅(Stealth Marketing: 소비자들의 생활 속에 직접 파고들어 사람들이 눈치 채지 못하는 사이에 구매 욕구를 자극해 제품이 홍보되는 효과를 노린 방식)을 이용하며 이러한 방법 외에도 왕홍은 여러 분야에서 수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왕홍은 기업들의 놓칠 수 없는 블루오션이 된 셈이다.


왕홍의 수익 규모와 파급력은?

▲ 사진=2016 왕홍 데이터 보고서


현재 왕홍의 시장규모 90억 위안(1조 5,290억 원)으로 추정된다. 왕홍이 사용하는 중국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은 200여 개가 넘고 동시 접속자 수는 약 400만 명을 넘는다. 또한 회원 수는 약 3.25억 명으로 중국 전체 네티즌의 45.8%을 차지하고 있어 상당한 파급력을 끼치고 있다.

실제로 화지아오즈보(花椒直播) 플랫폼 통계상 왕홍은 월 15회 이상 방송을 할 경우 수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월 22회 이상 방송 시에는 평균 30,000 위안(500만 원) 이상의 수입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된 시청자 층이 젊은 세대다 보니, 95년생 이후의 중국인들의 신생 직업 선호도 조사 결과 54%의 사람들이 왕홍을 택했다. 이는 왕홍을 단순히 콘텐츠를 공유하는 유저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직업으로 왕홍을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다.

왕홍의 궁극적인 성공 요인은?

워낙 큰 중국시장에서 독자적인 콘텐츠로 성공한 왕홍. 왕홍의 성공은 단순히 큰 시장규모만이 아닐 것이다. 이들은 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시장을 스스로 개척한 것이다. 왕홍은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고 대중들과 끊임없이 소통해 잠재적 소비자들을 동요케 했다. 이로써 왕홍은 브랜드 시장을 직접 손으로 거느리는 1인 기업이 됐다.

왕홍이 파급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킨 이유는 중국인들은 신뢰를 중요시하기 때문이다. 왕홍은 제품의 상세정보를 다양하게 다루며 팬들에게 ‘믿을 수 있다’라는 이미지를 심어줘 제품의 호감을 자연스레 끌어냈다. 이는 대중들에게 단순히 호기심이나 관심에서 끝나지 않고 직접적인 구매로도 영향을 준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더욱 발전하고 있다. 왕홍은 2014년 모바일 메신저에서 활동하다 2015년부터는 중국의 콘텐츠 소비 패턴이 모바일 동영상과 라이브 방송으로 바뀌면서 이들도 같이 변화를 시도했다. 이렇듯 왕홍은 변화의 물결 속에 살아 남기위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이들은 앞으로의 인터넷 콘텐츠 발전을 따라가며 파급력 또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tubth@tubth.com '무단 전재 배포 금지'

Hot Issue